스마트폰에 푹 빠진 우리 아이, 어떻게 지도할까? 시청자미디어재단(이사장 최철호)은 유아의 올바른 디지털 미디어 이용을 위해 미디어 교육과 콘텐츠 개발에 나선다. 우리나라 영유아의 70%가 3세 이전에 스마트 기기를 사용하기 시작하며, 하루 평균 이용 시간은 주중 55분, 주말 97분에 이른다. 유아들의 미디어에 대한 과도한 의존과 통제력 상실은 사회적 상호작용과 신체, 정서 발달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며, 청소년 시기 미디어 중독으로 이어질 수 있다. 가정에서 뿐만 아니라 보육기관에서 유아의 적절한 미디어 이용 지도가 시급한 시점이다. 2025년 재단은 어린이집과 유치원으로 찾아가는 유아 미디어교육의 참여 대상을 지난해 50개 기관에서 올해 64개 기관으로 30% 대폭 늘린다. 유아의 발달 수준에 맞춘 프로그램을 운영해 유아의 사회성 발달과 건강한 미디어 이용 습관 형성을 돕는다. 재단은 전국 12개 시청자미디어센터를 통해 아이들에게 친숙한 콘텐츠들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계획이다. 국내 대표 어린이 콘텐츠 제작사 3곳과 업무협약을 맺고,‘뽀롱뽀롱 뽀로로’,‘꼬마버스 타요’,‘마법천자문’,‘니니키즈’등 인기 애니메이션을 활용해 유아들이 직접 영상의 주인공이 되어
디지털 기술과 AI의 발달로 딥페이크, 딥보이스, 허위정보 등 미디어 악용 사례가 전세계적인 문제로 심각해짐에 따라, 시청자미디어재단(이사장 최철호, 이하 ‘재단’)이 신기술 및 미디어 역기능 예방 교육을 대대적으로 확대한다. 재단은 미디어 역기능 예방교육을 어린이, 청년, 중장년 등 생애주기별로 맞춰 실시한다. 특히 올해 중고교생을 대상으로 미디어 역기능 예방 및 딥페이크 범죄 예방 특강을 전년보다 2배 늘려 200회로 확대하고, 교육과정과 연계하여 디지털 신기술을 악용한 ‘신종 허위정보 예방 교육도 강화한다. 재단은 이와 함께 유아, 초‧중‧고‧대학생, 성인 등 전 연령층을 대상으로 한 생애주기 맞춤형 미디어 교육 목표를 연간 50만명으로 확대하고, 전국 12개 시청자미디어센터에서 미디어를 올바로 알고 활용하기 위한 수준별·역량별 맞춤형 미디어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유아교육 전문가와 미디어교육 강사가 협력해 발달수준에 맞는 놀이형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유아기부터 올바른 미디어 이용 습관 형성을 돕는다. 특히 올해는 본격적으로 미디어를 활용하기 시작하는 초등학생 대상 교육 분야를 신설하고 학교를 직접 찾아가 교육을 강화한다. 재단은 도서산간, 장애인, 노
방송통신위원회(위원장 직무대행 김태규)와 시청자미디어재단(이사장 최철호)은 전 국민의 미디어 역량 함양을 위해 ‘2025년 찾아가는 미디어교육 지원 사업’을 운영하고, 교육에 참여할 435개 기관을 모집한다. ‘찾아가는 미디어교육 지원 사업’은 국민 누구나 가까운 곳에서 편하게 생애주기별 맞춤형 미디어교육을 무료로 받을 수 있는 프로그램이다. 올해는 딥페이크와 딥보이스를 악용한 범죄 예방 교육, 미디어 윤리 및 역기능 예방 등의 교육을 대폭 강화한다. 특히 유아 미디어교육을 확대하여 유치원·어린이집은 지난해보다 14개 늘어난 64개 기관, 초·중·고·특수학교는 50개교 늘어난 253개교, 노인·장애인 등 취약계층 복지관·보호시설은 118개로 총 435개 기관을 모집한다. 참여기관은 사업 이해도, 운영 계획의 적절성 등을 평가하여 점수 순위에 따라 선정되며, 농어촌·도서벽지 등에 위치할 경우 가산점을 부여할 예정이다. 선정된 기관에는 해당 지역에 위치한 시청자미디어센터에서 미디어교육 전문 강사를 파견하여 미디어 기기 활용, 콘텐츠 제작, 미디어 윤리와 비판적 이해 등 다양한 미디어교육 프로그램과 교육 진행에 필요한 교구·기자재 등을 지원할 예정이다. 올 한 해
정부가 체계적 미디어 교육 시스템 확립 등의 내용이 담긴 '미디어 역량교육 지원전략'을 28일 발표했다. 이번 계획은 2020년 방송통신위원회와 문화체육관광부 부처합동으로 발표한 '디지털 미디어 소통역량 강화 종합계획' 수립 이후 3년간 추진할 미디어 역량교육 전략을 담았다. 그간 미디어 환경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다양한 역량을 ‘미디어 리터러시’라는 용어로 표현했다. 이번 계획에서는 ‘리터러시’ 개념의 모호성 등을 감안하여 ‘미디어 역량’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였다. 3년간 정책 추진으로 시청자미디어센터, 미디어교육원 등 다양한 인프라가 마련되고 미디어교육이 양적으로 확대됐다. 이러한 성과를 바탕으로 향후 인프라를 고도화하는 한편 미디어교육의 질적 수준을 향상하고 부처 및 민간협력을 통한 소통·연계를 더욱 강화한다. 정부는 ‘국민과 함께하는 안전하고 행복한 미디어 세상’이라는 비전과 미디어교육의 5대 원칙(보편성·체계성·포괄성·전문성·협력성)을 정립했다. ▲보편적 교육 인프라 확충 ▲체계적 교육 시스템 확립 ▲교육 영역의 포괄적 실현 ▲교육 전문성 강화 ▲협력·소통의 네트워크 정립 등 5대 전략을 추진할 계획이다. 우선 국민들이 거주지와 가까운 곳